티스토리 뷰
토스를 통해 23·24년 종합소득세 경정청구를 진행했는데, 예상 환급액(5만 원)과 홈택스에서 확인한 납부할 세액(-10만 원씩, 총 20만 원)이 다른 경우, 실제로 얼마를 환급받게 되는지 궁금할 것입니다.
또한, 작년·재작년에 종합소득세 환급을 받았던 기억이 있는데, 이번에도 다시 받을 수 있는 이유도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경정청구 환급 절차, 예상 환급액과 실제 환급액 차이, 과거 환급 기록과의 관계까지 상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1. 종합소득세 경정청구란?
📌 경정청구의 의미
✅ 종합소득세 신고 후 세금을 더 많이 냈거나, 공제 신청을 빠뜨렸을 경우 정정 요청 가능
✅ 신고 후 5년 이내까지 경정청구를 통해 세금 환급 신청 가능
✅ 국세청이 검토 후 정당한 경우 초과 납부한 세금을 환급해줌
📌 경정청구 절차
✅ 민간 세무 플랫폼(토스, 삼쩜삼 등)을 통해 자동 계산 후 환급 신청 가능
✅ 또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직접 경정청구 신청 가능
2. 토스에서 예상한 환급액(5만 원) vs 홈택스 실제 금액(-10만 원 × 2년 = 20만 원) 차이 발생 이유
📌 예상 환급액과 실제 환급액이 다르게 보이는 이유
✅ 1) 토스는 환급 예상액을 보수적으로 계산
- 토스 등 민간 플랫폼은 보수적으로 환급액을 예측하여 표시하는 경향이 있음
- 예상 환급액이 실제보다 적게 표시될 가능성이 높음
✅ 2) 홈택스에서는 경정청구 후 세무서가 확정한 환급액 표시
- 국세청은 세금 계산을 최종 확정한 후 홈택스에 반영
- 홈택스에 "납부할 세액 -10만 원"으로 표시되었다면, 10만 원이 환급 대상
- 23·24년 각각 10만 원씩 → 총 20만 원 환급 가능
✅ 3) 과거 종합소득세 신고와 무관하게 새로운 경정청구 가능
- 작년·재작년에 종합소득세 환급을 받았더라도, 새로운 공제 항목이 반영되거나 신고 오류가 수정되면 추가 환급 가능
📌 즉, 토스에서는 5만 원 환급 예상이 나왔지만, 국세청에서 최종적으로 10만 원씩 2년치(총 20만 원) 환급을 결정한 것!
3. 실제 환급액은 20만 원이 맞을까?
📌 환급액이 확정되는 과정
✅ 홈택스에서 확인한 "납부할 세액 -10만 원"이라는 표시는 과거 납부한 세금 중 환급 가능 금액
✅ 만약 23년, 24년 각각 -10만 원이라면, 총 20만 원이 환급될 가능성이 큼
📌 환급액 최종 확인 방법
- 국세청 홈택스 접속 (홈택스 사이트)
- My홈택스 → 신고/납부 → "환급금 조회"
- 23·24년 환급 내역 확인
📌 환급금 지급 일정
✅ 경정청구 승인 후 통상 1~2개월 내 환급금 지급
✅ 환급금이 지급되면 홈택스 및 토스에서 알림 수신 가능
✅ 결론: 홈택스에서 -10만 원씩 표시되었다면, 최종 환급액은 20만 원이 맞을 가능성이 높음!
4. 경정청구 환급금, 과거에 이미 받았는데 또 받을 수 있는 이유?
📌 이전 환급과 이번 환급의 차이점
✅ 1) 새로운 경정청구 사유가 생겼을 가능성
- 과거 환급은 특정 공제 항목이 적용된 것이며, 이번에는 다른 공제 항목이 추가 반영되었을 가능성 있음
✅ 2) 세무 검토 과정에서 수정사항이 발생했을 가능성
- 국세청이 과거 신고 내용을 다시 검토하면서 추가로 돌려줄 금액이 생긴 경우
✅ 3) 세법 변경 또는 신고 오류 수정
- 세법 개정, 소득 공제 기준 변경 등으로 인해 추가 환급이 발생할 수 있음
📌 즉, 과거에 환급받았더라도 새로운 환급 사유가 있으면 추가로 환급 가능!
5. 추가 환급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 (추가 경정청구 검토 추천)
📌 경정청구를 한 후, 추가로 더 받을 수 있는 환급금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음
✅ 1) 신용카드·현금영수증 공제 확인
-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신용카드 사용액이 누락된 경우 추가 환급 가능
✅ 2) 인적공제, 부양가족 공제 확인
- 부양가족 추가 등록이 가능하거나, 소득 요건을 충족하는 가족이 있으면 추가 공제 가능
✅ 3) 의료비·교육비 공제 확인
- 병원비, 학원비 등을 공제 신청하지 않았다면, 추가 경정청구 가능
📌 홈택스에서 직접 경정청구를 진행하면 추가 환급이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음
6. 결론: 23·24년 경정청구 환급액 정리
✔ 토스에서 예상한 환급액(5만 원)보다 홈택스에서 표시된 금액(20만 원)이 실제 환급액일 가능성이 높음
✔ 홈택스에서 -10만 원씩 2년 표시되었다면, 총 20만 원이 환급될 가능성 큼
✔ 과거 종합소득세 환급을 받았더라도, 새로운 공제 반영으로 추가 환급 가능
✔ 홈택스에서 "환급금 조회"를 통해 최종 환급 금액 확인 가능
✔ 추가로 공제 받을 항목이 있다면, 직접 경정청구를 통해 추가 환급도 가능
📌 결론: 예상보다 환급금이 많을 가능성이 높으며, 추가 환급 가능성이 있는지 홈택스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!
'보험과 세금 키워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면세사업자 & 간이과세자의 사업장현황신고 – 부가세 신고와 중복될까? 필수 신고 대상 여부 완벽 정리 (0) | 2025.02.21 |
---|---|
가족 간 계좌이체, 증여세 부과될까? 20년 후 부모가 자식에게 돈을 이체할 경우 증여세 계산 및 절세 전략 완벽 정리 (0) | 2025.02.21 |
상속세 계산 방법 & 절세 전략 – 농지·상가·보험금 포함, 배우자 재산 영향까지 완벽 정리 (0) | 2025.02.20 |
군대 간 아들의 연말정산 처리 방법 – 부모가 받을 수 있는 공제 항목 완벽 정리 (0) | 2025.02.20 |
알바생 3.3% 세금 환급 안 되는 이유? 홈택스 & 삼쩜삼 환급 대상 여부 완벽 정리 (0) | 2025.02.20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부동산 세금
- 자동차 보험
- 보험료 절감
- 증여세
- 보험 보장
- 법적 절차
- 보험금 지급
- 보험 가입
- 보험사
- 세금 신고
- 세금 정책
- 세액 공제
- 건강보험
- 보험 해지
- 세무 전문가
- 상속세
- 실비보험
- 증여세 신고
- 종합소득세 신고
- 보험 청구
- 자동차보험
- 실손보험
- 암보험
- 양도소득세
- 보험금 청구
- 보험 계약
- 보험 약관
- 보험료
- 보험사 상담
- 연말정산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